티스토리 뷰
노인연령층의 인구가 날이 갈수록 늘고있습니다.
뭐 당연한 세상의 이치겠지요.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자꾸 사람들은 나이를
먹어가고 그 사람들은 노인이 됩니다.
또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하여
전체인구에서 65세인구의 비중이 높아졌죠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는것을 알게해줍니다.
이것은 큰 사회적 이슈가 됩니다.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이 뭔지 짚어보도록
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우리나라 고령화의 특징
우리나라는 6.25 전쟁이후 폭발적인
인구 증가 시대가 있었습니다.
(전쟁을 전후하여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게 경제학자들의 추론입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폭증 시대가 있었는데요.
여러분들도 익히 알고 들어보셨던
베이비붐 세대죠
55년~63년 사이의 출생자 들입니다.
이들의 인구는 무려 900만명이나 될정도로
어마어마 합니다.
이들은 아직 노년층이 되지않았지만
곧 은퇴해야할 나이가 될 것이고
시간이흘러 은퇴를 하여 그들이 모두
노인연령에 도달한다면 우리나라는
전체인구의 40%에 육박하는 인구가
노인인 나라가 되는것 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이것은 큰 문제입니다.
결국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사회가 보장해야할 사회보장서비스가
늘어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우리나라 같은경우 그 사회보장을
책임져야할 경제활동인구는 자꾸 줄어들고있죠
출생인구가 줄어드니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는 줄어드는게 당연한 이치입니다.
oecd최하위를 기록할 정도인
출생인구는 곧
노동력 부족으로 이뤄지고 고령화로 인하여
노동생산성이 낮아지게 됨에따라
우리나라의 경제적 성장이
둔화되게 될 것입니다.
또한 경제활동인구가 부양해야할
노인들의 증가로 인하여
젊은세대들은 큰 부담이 가중되게되죠.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들어가야할 세금은 많은데
그 세금을 납부해야할 인구가 적어진다는것입니다.
우리는 지금부터 이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고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현행 만 65세인 노인들의 연령의
70세로 연장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요즘 누가 65세를 노인으로 보겠습니까?
시골에 가면 70세를 막내라고 하는 시대입니다.
만약 노인기준연령의 70세로 올린다면
세수가 3조가량 절약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을 정도이니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또한 고령화 사회의 대응책으로
나이든 어르신들이 충분히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실버산업 육성과 더불어
꾸준히 문제가 재기되어왔던
출산장려정책의 확대가 필요할 것입니다.
요즘 집값은 비싸지고..
젊은사람들은 돈이없으니 연애고 뭐고
결혼이고 못하는걸 알고있지만..
이문제를 해결하여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꾸준히 펼칠수있도록 정부와 시민단체가
나서서 도와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큰 문제점에 도달한만큼
우리 대한민국 사람들이 힘을모아서
노인들도 살기 좋은사회
고령화에 진입했다고하여 경제수준이
나빠지지 않는 사회
모두가 안락한 사회를 만들어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네요.
'산업과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수수료 인하 발표!! 자영업자의 희소식 (0) | 2018.11.26 |
---|---|
권고사직 실업급여 과연 받을수 있을까? 회사불이익은? (0) | 2018.11.23 |
원천징수의 뜻과 의미 (0) | 2018.10.20 |
피그말리온 효과 "그 파격적인 의미" (0) | 2018.10.16 |
혁신성장 이란 무엇인가? 금산분리와 은산분리 설명 추가 (0) | 2018.08.28 |